지리학적 접근의 이러한 특성은 현상과 그것의 공간적 패턴 사이의 상관관계를 얼마나 깊게 따지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공간과 장소는 다양한 주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리학은 다른 학문과의 연관성이 크다. 여기에 인간과 그들이 사는 환경 간의 상호작용에 대해서도 연구한다.현대 지리학은 주로 서구에서 유래한 것이다. 서구에서는 전통적으로, 지리학자는 지도학자, 지명이나 수를 연구하는 사람으로 여겨졌다. 많은 지리학자가 지명을 다루는 학문이나 지도학을 아는 사람이었어도 이 분야는 지리학자의 주된 연구 분야가 아니다. 지리학자는 현상, 과정, 사물의 시공간적 분포를 다룬다.
* 한낱 장소의 이름은 지리가 아닙니다.
* 원래 지명 사전을 통째로 외우는 것은 지리학자의 일이 아닙니다.
* 지리학은 이보다 더 높은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 지리학은 현상을 분류하고, 비교하고, 일반화하고, 원인과 결과를 따져서 자연의 법칙을 아는 것과 인간에게 이들이 끼치는 흔적을 찾아내기를 추구합니다. 이것이 '세계의 기술(記述)', 지리학입니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지리학은 과학입니다. 이름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설명과 추론, 원인과 결과에 관한 것입니다.
— 윌리엄 휴, 1863
모든 현상은 시간에 있기 때문에 역사가 있듯이, 공간에도 있어서 지리가 있다.
— 미국 국립 연구 회의, 1997
미국지리교육학회와 미국 지리학회는 1984년에 지리학의 기본 주제를 다음 다섯 가지로 선정하였다.
지리학을 분류할 때 여러 가지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으나 가장 대표적인 분류 방법으로 접근 방법 혹은 연구 방법에 따른 분류가 사용된다. 이를 통해 지리학을 분류하면 계통지리학과 지역지리학으로 분류할 수 있다. 계통지리학은 특정 주제에 대해 지리적으로 접근하여 일반적인 원리를 도출하는 연구 방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계통지리학은 그 주제의 성격에 따라 인문지리학과 자연지리학으로 분류한다. 지역지리학은 특정 지역을 지리적으로 접근하여 내용을 서술하고 연구하는 방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위치(영어: Location): 절대위치와 상대위치로 나뉜다. 절대위치란 어떤 장소의 실제 위치이다. 경위도로 나타낼 수 있다. 상대위치는 다른 장소에 대한 위치이다. 서울을 한강 위의 도시로 나타내는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장소(영어: Place): 특징을 나타내는 말이다. 장소를 나타내는 특성에는 인문적인 특성과 자연적인 특성이 있다. 전자는 인간에 의해서 나타나고, 후자는 자연 환경에 의해 나타난다.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영어: Human-Environment Interaction):인간이 환경에 어떤 영향을 주고받느냐에 관한 주제이다. 인간이 환경에 의존한다는 관점, 환경을 바꾼다는 관점, 환경에 적응한다는 관점이 있다.
이동(영어: Movement): 연결에 관한 주제이다. 인간이나 장소, 자연환경은 이동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지역(영어: Region): 지리학의 기본적인 연구단 위이다. 공통점이 있는 영역(영어: area)으로 정의할 수 있다. 지역 간의 유사성과 차이와 같은 연구 주제가 있다. 기후나 민족과 같은 특성으로 장소의 공통점과 차이를 알아낼 수 있는 것이다.
인문지리학
인간 활동의 공간적 조직, 인간과 환경 간의 연관성을 탐구하는 분야로 다양하고 넓은 분야로 구분할 수 있다. 인간에 의하여 공간조직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탐구하고, 어떤 형태인지를 탐구하며 공간의 의미에 관해서도 설명하는 분야이다.
다음과 같은 분과가 있다.
문화 이론: 문화를 특정 시각에서 설명하려는 이론이다.
지리 철학: 사람들이 인식하고 떠올리는 세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경제지리학 :경제적 활동의 위치, 분포, 공간적 조직을 탐구한다.
도시지리학 :건물, 기반 시설이 밀집한 지역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관광 지리학 :여행과 관광을 산업이나 사회적, 문화적 활동으로 보는 학문이다.
교통지리학 :인간의 관심 대상의 움직임, 연결을 연구하는 경제지리학의 분과이다.
문화지리학 :문화적 산물, 규범과 이들의 다양성과 이들의 공간에 대한 연관성을 탐구하는 학문이다.
발전지리학 :거주지의 삶의 질, 삶의 기준을 탐구하는 학문이다.
사회지리학 :사회 현상과 이 현상의 공간적인 요소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보건 지리학 :보건에 지리학적 지식을 응용한 학문이다.
시간지리학, 역사지리학 : 시간 지리학에서는 어떤 사건의 시간과 공간적인 측면을 다룬다. 역사지리학은 과거의 지리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인구지리학, 인구론 :인구의 분포, 구성, 이주가 장소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연구한다.
정치지리학, 지정학 :정치지리학에서는 특정 장소의 사람들이 정치적인 모임을 어떻게 형성했고, 이들이 어떤 영향을 주고받는지 연구한다. 이 중 지정학은 지리가 국제 정세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종교 지리학 :종교적 신념에 지리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다룬다.
행동주의 지리학: 인간의 행동을 독립적으로 보는 시각이다. 인간과 장소를 연계시켜 보는 시각과 대비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