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학19

카를마스크스 1-7 사상 - 받은 영향 마르크스의 사상은 여러 다른 사상가들의 영향을 받았는데,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다. 마르크스는 역사와 사회를 과학적으로 연구하여, 역사의 경향과 사회갈등의 결과를 포착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마르크스 추종자들 중 일부는 공산주의 혁명은 가만히 있어도 필연적으로 일어나게 될 것이라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하지만 마르크스의 묘비에도 새겨진 〈포이어바흐 테제〉 제11명제에서 드러나는 마르크스의 생각은 '진정 중요한 것은 세계를 변혁하는 것'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마르크스는 세계를 직접 변혁시키고자 노력하는 데 평생을 바쳤다. 본인의 유대인 배경 역시 그의 도덕적 견해와 유물론 철학 형성에 기여했다.냐미 마르크스의 역사관을 역사적 유물론이라고 한다(이것을 엥겔스와 플레하노프가 변증법적.. 2023. 2. 18.
카를마르크스 1-6 개인사 가족사 마르크스의 딸들(예니 카롤리나 마르크스, 예니 라우라 마르크스)은 모두 어머니의 이름을 따서 ‘예니’라는 이름을 받았다.마르크스 부부는 슬하에 일곱 아이를 낳았으나, 런던에서의 열악한 생활 통에 그 중 장성한 것은 딸 세 명뿐이다. 마르크스가 가정부 헬레네 데무트와의 사이에 프리드리히라는 사생아를 낳았다는 주장이 있으나, 이 주장은 1962년부터 나오기 시작한 것이며 마르크스가 그 아이의 아버지라고 입증할 만한 물질적 사료적 근거는 그다지 확실하지 않다.마르크스의 일곱 아이는 예니 "예니헨" 카롤리나(1844년~1883년), 예니 라우라(1845년~1911년), 에트가어(1845년~1855년), 헨리 에드워드 "귀도" 기(1849년~1850년), 예니 에펠리네 "프란치스카" 프란체스(185.. 2023. 2. 17.
카를마르크스 1-5 1860년~1883년: 제1 인터내셔널과 《자본론》 《자본론 제1권》마르크스는 《트리뷴》이 진보적 논조를 유지하는 이상 계속 기고를 할 생각이었다. 그러나 1861년 말 찰스 다나가 퇴사하고 편집주간이 물갈이되면서 신문의 논조도 변했다. 《트리뷴》은 예전처럼 노예해방과 북부연방의 완전한 승리를 부르짖지 않았다. 남부의 노예제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북부연방과 남부 맹방 사이의 즉각적인 평화를 지지했다. 마르크스는 이 새 편집방침에 동의하지 않았고, 결국 1863년 《트리뷴》에서 잘리게 된다. 한편 다나는 1868년 《뉴욕 썬》이라는 경쟁지를 창간해 자기가 주필을 맡았다.제1인터내셔널 존속 기간에 벌어진 가장 중요한 정치사적 사건은 단연 1871년 파리 코뮌이었다. 파리 시민들이 정부에 반기를 들고.. 2023. 2. 16.
카를마르크스 1-4 1848년–1849년: 쾰른 일시귀국 혁명이 독일에까지 번지기를 기대하며 마르크스는 1848년 쾰른으로 갔고, 〈독일에서의 공산당의 요구〉라는 찌라시를 돌리고 다녔다. 여기서 마르크스는 《공산당 선언》의 열 가지 요지 중 네 가지만 발췌, 재인용하여 혁명을 선동했다. 독일에서 프롤레타리아가 부르주아를 전복시키고 혁명을 일으키려면, 우선 독일 부르주아들이 봉건군주제와 귀족제를 전복시키는 시민혁명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동년 6월 1일, 마르크스는 아버지의 유산을 털어 《신라인신문》을 발행하기 시작했다. 마르크스는 이 신문을 통해 유럽 전역의 사건들에 대한 자신의 해석을 내놓았다. 마르크스는 파리에 잠시 머무르면서 공산주의자동맹 본부를 파리로 옮기고 파리에 살던 독일인 사회주의자들을 규합해 .. 2023. 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