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산 문화, 발해 연안 문명(홍산 문화, 중국어 간체자: 红山文化, 정체자: 紅山文化, 병음: hóngshān wénhuà)은 현대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에 존재했던 신석기 시대의 문화
홍산 문화의 큰 특징인 빗살무늬 토기는 한반도 전역에 발견되는 빗살무늬 토기와 같고 적성총이라는 특이한 문화 그리고 옥기(玉器)는 한반도 강원도 고성군 패총에서 출토된 옥 귀걸이(7천 년 전)와 전남 여수 안도리(6천 년 전) 등에서 발견된 옥 장신구, 귀걸이와 유사점이 있어 고조선 등 한반도 초기 역사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현재의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 성 일대의 요동 지역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개요
이 시기는 고조선(단군)시대 이전의 환웅시대와 동일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영역은 고조선이 지배한 영역과 비슷하다. 홍산문화는 1908년 일본의 인류학자 도리이 류조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으며 연대는 기원전 4700년 ~ 기원전 2900년 경으로 지금까지 츠펑(赤峰, 발견 당시엔 열하성), 링위안(凌源), 젠핑(建平), 차오양(朝陽) 등 500여곳의 유적을 찾아내어 발견 지역은 옌산 산맥의 북쪽 랴오허 지류의 서 랴오허 상류 부근에 널리 퍼져 있다. 홍산 문화는 옥(玉) 문명(文明)으로 유명하며 홍산 문명이라고도 한다. 중국은 1980년대부터 본격적인 발굴을 하면서 싱룽와 문화(興隆窪文化), 훙산 문화, 자오바오거우 문화(趙寶溝文化), 신러 문화(新樂遺跡)등으로 이어지는 요하 일대의 신석기문화를 문화(culture)의 단계를 넘어선 새로운 문명(civilization)으로 간주하여 '랴오허 문명'으로 명명하여 부르고 있다. 이것은 역사왜곡으로 봐야 한다.
연대 인상과 평가
홍산 문화가 황하문명의 원류라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고 중국 학자 량쓰용은 중국어족과는 다른 랴오허 지역의 사람들이 남하하여 현 쓰촨성 북부의 중국티베트어족을 지배하고 황하문명을 만들었다고 주장한다.중국에서는 요하 유역에서 새로운 유적들이 계속 발견됨에 따라 도리이 류조의 처음 발견 당시의 추정보다 연대가 훨씬 오래된 기원전 8000년까지 인상되었다면서, 광의의 홍산 문화에 기원전 8000년경의 신러 문화까지를 포함시켜 '요하 문명'으로 간주한다.
위치
현재의 내몽골 자치구 동남부, 랴오닝성 서부와 중부, 동부에 해당되며 내몽골자치구 츠펑 시에는 붉은 기운이 도는 홍산이 있다. 이 곳을 중심으로 한 광범위한 지역에서 옥기가 발견돼 홍산옥기(紅山玉器)라 하였고 중국 중원에서 보기에 홍산 뒤쪽에서 발견되었기에 내몽고 자치구의 츠펑 시에 있는 홍산 호우(红山 後, 홍산 후) 유적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역사
홍산문화는 1906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일본의 저명한 인류학자 겸 고고학자인 도리이 류조가 적봉 일대 지표조사를 하던 중 우연찮게 많은 신석기 유적과 돌로 쌓은 묘(적석묘) 등을 발견한 것. 이것이 후대 세계를 놀라게 한 홍산문화 적석총 유적이다. 동북지방과 만주, 한반도 일대에서만 발견되는 무덤 형태였다. 또한 빗살무늬 토기가 발견되었다. 하지만 당대에는 큰 관심을 끌지 못했다. 이후 20세기 초 중국에 온 프랑스 예수회 신부 에밀 리상(Emile Licent·1876~ 1952)도 22곳의 신석기 유적을 발견했지만 류조와 마찬가지로 간단한 글만 남겼다. 그러나 1920년대 미국 하버드대에서 유학 중이던 고고학도 량쓰용(梁思永(liángsīyǒng)· 중국 철학자 량치차오의 아들)은 이 글을 놓치지 않았다.결국 1930년 귀국한 량쓰용은 그해 겨울에 적봉으로 향했다. 중국 중앙연구원 고고분과 담당자로서 내몽골 임서 일대와 헤이룽장 등 동북지방에서 잇따른 신석기 유적 발견을 바탕으로 본격적 발굴작업을 계획한 것이다. 하지만 정세불안과 건강 악화로 발굴이 지연되다 1934년 ‘열하고고보고(熱河考古報告)’로 학계에 첫 보고를 하는 데 만족해야 했다. 보고서엔 “동북 4성(랴오닝·지린·헤이룽장·열하성) 발굴작업을 완성하지 못했지만 절대 잊어선 안 된다”고 썼다. 그러나 실제적인 발굴은 일본 고고학의 아버지인 하마다 고사쿠(濱田耕作)으로 당시의 대규모 발굴단을 끌고와 발굴을 진행했다. 이렇게 1906년 일본의 고고학자 도리이 류조에 의해 발견되어, 1935년 하마다 코사쿠(濱田耕作)나 미즈노 세이치(水野清一) 등에 의해 대규모의 조사가 이루어졌다. 전후 각지에서 발굴이 잇달았으며, 채도와 세석기의 특징을 가진 이 문화는 1954년 홍산후를 기념하여 홍산 문화라고 명명되었다. 현재의 명칭은 내몽고 자치구의 츠펑 시에 있는 홍산 호우(红山 後, 홍산 후) 유적에서 유래하였다. 중국 내몽고에는 박물관 신축과 개관, 확장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적봉시 인근의 오한기(敖漢旗)·임서(林西)박물관은 신축을 마치고 2010년 후반기에 이전했고 극십극등기(克什克騰旗) 역사박물관과 파림좌기(巴林左旗)의 요상경(遼上京)박물관은 그전에 이미 신축해 개관됐다. 랴오허를 중심으로 발견된 고고학적 성과, 즉 홍산문화를 정점으로 하는 이른바 '요하문명'을 집중 전시하고 있는 것이다.중화인민공화국은 2002년부터 2005년까지 중화인민공화국이 실시한 통일적 다민족 국가론에 입각한 공정 연구의 일환으로, 2003년 6월부터의 '중화문명탐원공정'(中華文明探源工程)을 통하여 중국은 황하문명보다 빠른 랴오허문명을 중화문명의 뿌리로 규정하고 있다. 더욱이 2012년 7월 초, 중국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 내몽고 제1공작대와 아오한치(熬漢旗) 박물관의 합동발굴팀은 중국 네이멍구자치구 츠펑시 오한치의 싱룽고우(興隆溝·흥륭구) 유적 제2지점에서 5300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도소남신상(陶塑男神像, 흙으로 구운 남신상)’을 발굴하였다. 홍산문화 유적에서 여신상은 발굴된 적이 있지만, 남신상이 발견된 것은 중국 최초이다. 인민일보·CCTV 등 중국 언론들은 “5300년 전의 조상 발견”, “중화조신(中華祖神) 찾았다”는 내용으로 발굴성과를 대대적으로 보도하였다. 이와함께 2004년 11월, 기존의 랴오닝성박물관(遼寧省博物館, 요녕성박물관)을 개축하여 건축면적 2만 8900m2, 12개 전시실에 전람면적 8530m2에 이르는 신관을 개관하였고 2010년 8월 8일, 중국 내몽고 자치구 적봉박물관을 개관하였다.
'역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사 - 훙산문화 2 (0) | 2023.03.20 |
---|---|
역사 - 신석기 청동기 문화와 주요 유 (0) | 2023.03.19 |
역사 - 인더스문명3 (0) | 2023.03.16 |
역사 - 인더스문명 2 (0) | 2023.03.15 |
역사 - 인더스문명 (0) | 2023.03.14 |
댓글